농협 자체로서는 농촌고령화와 농촌인구감소로 인한 조합원 규모 대폭 위축을 막으려는 의도도 있지만.. 일단 농촌 고령화와 농촌사회구조 변화, 고령 농민의 농업 영위 보조, 농촌복지 사각지대 채우기 등을 생각해도 의미가 있다. 평생 농협조합원으로 산 농촌 고령조합원들은 퇴출되어도 작게나마 농사를 지을 것 같은데, 농협조합원인 것과 조합원이 아닌 것은 농사짓는 데 엄청난 차이가 나고, 또 생활경제의 여러 면이 바뀔 텐데 고령에 적응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.
농사 안 짓는 고령자 95만명 농협조합원 인정할듯
원로조합원제 추진…의료ㆍ복지 지원 혜택 확대
연합뉴스 2012.07.09
- 농협,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농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조합원 자격을 유지해주는 원로조합원 제도를 도입하려고 농협법 개정 추진
- 원로조합원 제도는 연령이 65세 이상이면서 가입 기간이 10년을 넘은 고령자가 농사를 짓지 못하더라도 조합원 자격을 예외로 인정하는 방안
- 농협은 매년 조합원 전수 조사로 무자격 조합원을 퇴출하는데, 고령 조합원들의 극심한 반발로 잦은 분쟁
- 무자격 조합원의 대다수가 과거 어려운 여건에서도 쌀 등 현물을 출자해 조합 설립을 주도했거나 수십 년간 성실하게 조합 활동에 참여해 농협 발전에 이바지한 고령 조합원
- 2012.5월 말 현재 65세 이상 고령 조합원은 119만 4천305명으로 전체 조합원 246만 310명의 절반에 육박. 60세 이상 조합원은 145만 7천236명으로 59.2%. 65세 이상 조합원 가운데 가입 기간이 20년을 넘는 조합원은 47만 7천509천 명으로 40%. 10년 이상 가입자는 94만 9천145명으로 80%
- 농협은 원로조합원 제도가 도입되면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농촌에서 고령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의료ㆍ복지 지원 등 사회적 역할 강화
'귀농, 농사 관련 웹서핑 중 걸린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귀농적성평가표 (0) | 2014.08.29 |
---|---|
귀농귀촌관련 한눈에 보기: 조선일보 인포그래픽스 (0) | 2014.05.19 |
시골주택 세 얻어 전원 생활하기 - 윤재호 (글 링크) (0) | 2014.05.13 |
청주청원 산림조합, 산림조합 중앙회/ 화목보일러나 화목 난로용 장작(땔감) (0) | 2014.04.08 |
농어촌 삶의 질 향상위원회 링크 (0) | 2014.04.01 |
2012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, 평가 (0) | 2013.11.19 |
고랭지로 이사가는 게 답이었나 보다. (0) | 2013.09.15 |
폭염으로 인한 노인 사망자의 대다수가 무더위 시간대 농사일에 기인 (0) | 2013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