닭고기값, 계란값이 내렸다는 이야기 / 한국인의 육류소비량
kg당 소매가격이 5월에 6천원대에서 지금 5천원대로 내렸다고 해서
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왔네요. 계육 업체들이 냉동닭을 비축하기 시작했다고.
…가공업체들 "가격 폭락해 내다버릴 판"
한국경제신문 2014-10-19
수요 줄었는데도 공급 여전.. 월드컵대비 증산했지만 특수는 반짝.
산지가격 1년새 27% 떨어져
가격 올리려 닭고기 매입 시작
농림축산식품부, 대한양계협회, 한국육계협회와 축산회사 대표, 소비자단체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닭고기수급조절협의회는 이달 300만~350만마리의 닭고기를 자율 감축하기로 결정
한 천 만 마리쯤 비축가능하다고 하고 그걸 넘기면 버리는 수밖에 없다고 업체들은 말하고 있습니다.
내다버린다는 소리가 나왔긴 하지만 그건 별로 신경쓰고 싶지 않네요.
여튼, 지난 달 이마트, 롯데마트에서 백숙용 닭을 한 마리에 2500원씩 세일한 적이 있습니다. 저희 집도 몇 마리 사서 얼려두었는데요, 그래서였나봅니다.
9월 닭고기 1kg당 산지가격은 1238원.
계란 10개 가격도 산지기준 1150~1350원이라고 합니다. (30알 한 판 기준으로는 3450~4050원. 산지기준.)
소비자 관점에서 내가 사는 값이 싸졌는 지는 저런 대형유통망 세일을 빼면 느끼지 못하겠지만 어쨌든 산지는 작년보다 낮다네요.
곰곰 생각해보면 닭값은 몰라도 계란값은 내렸다고 하는 게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. 그리고, 우리는 참 대단한 유통망의 혜택을 입고 있구나하는 생각도 들고, 장사하는 사람들도 힘들게 먹고 산다는 생각도 드네요. 그리고 싼 걸 찾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도. 모두가 많이 벌어야 하는데.
닭고기가격하락의 다른 원인은 기사에도 나오는데, 수입 증가입니다.
올들어 9월까지의 닭고기 수입량은 9.5만 톤(=9,500,000 kg).. 그러니까, 1마리 1kg으로 가정하면 국내닭기준 950만 마리분쯤 되는 모양입니다. 원산지관리는 철저하게 잘 하고 있나 모르겠네요.
이쯤 되면 양계산업이 희망이 있느냐는 말이 나올 텐데, 언뜻 드는 생각은, 원산지표시제를 잘 하길 일단 바라고, 수 차례 언급된, 유통기한을 넘긴 닭과 닭가공제품을 유통기한이 임박해 재가공하거나 유통기한을 속이는 일이 없어야겠습니다. 그 외 또 뭐가 있을까요..
수요쪽을 보면 아직 많이 먹을 수 있습니다.
우리 나라 국민의 1인당 육류소비량 자체는 국민건강상 필요한 수준(1년 22kg정도라더군요)은 예전에 넘겼지만 아직은 그럭 저럭이라고 합니다. 많이 먹는다는 나라들의 절반에서 2/3 정도라고 해요. 따라서 닭도 더 먹을 여지가 있을 겁니다.
◎ 주요 국가별 국민 1인당 육류 소비량 변화
(단위 : kg/연간)
구 분 | 쇠고기 | 돼지고기 | 닭고기 | 합계 | |||||
2005 | 2009 | 2005 | 2009 | 2005 | 2009 | 2005 | 2009 | 증감량 | |
홍 콩 | 14.8 | 24 | 59.6 | 65.4 | 38.8 | 38.1 | 113.2 | 127.5 | 14.3 |
미 국 | 42.8 | 39.3 | 29.3 | 27.7 | 45.4 | 43.3 | 117.5 | 110.3 | -7.2 |
아르헨티나 | 62.6 | 58.5 | 5.4 | 6.1 | 24 | 33.9 | 92 | 98.5 | 6.5 |
호 주 | 37.5 | 35.1 | 21.3 | 22.1 | 34 | 34.7 | 92.8 | 91.9 | -0.9 |
캐나다 | 31.7 | 32.3 | 25 | 22.7 | 29.8 | 29.4 | 86.5 | 84.4 | -2.1 |
EU-27 | 17.5 | 16.8 | 42.2 | 42.2 | 16.4 | 17.6 | 76.1 | 76.6 | 0.5 |
칠 레 | 24.6 | 24.1 | 17.8 | 21.1 | 25.6 | 28.4 | 68 | 73.6 | 5.6 |
타이완 | 4.4 | 5 | 41.6 | 41.8 | 27.7 | 25.6 | 73.7 | 72.4 | -1.3 |
멕시코 | 18.9 | 17 | 14.7 | 15.1 | 27 | 30 | 60.6 | 62.1 | 1.5 |
러시아 | 17.1 | 14.3 | 17 | 21.4 | 15 | 20.1 | 49.1 | 55.8 | 6.7 |
중 국 | 4.3 | 4.1 | 34.6 | 37.3 | 7.7 | 9.4 | 46.6 | 50.8 | 4.2 |
베네수엘라 | 15.8 | 13.4 | 4.7 | 4.7 | 31.5 | 32 | 52 | 50.1 | -1.9 |
남아프리카공화국 | 14.8 | 14.1 | 3.9 | 3.8 | 22.5 | 29 | 41.2 | 46.9 | 5.7 |
콜롬비아 | 17.1 | 18 | 3 | 4.5 | 17.7 | 23.1 | 37.8 | 45.6 | 7.8 |
일 본 | 9.3 | 9.4 | 19.7 | 19.6 | 14.7 | 15.5 | 43.7 | 44.5 | 0.8 |
우크라이나 | 11.2 | 8.6 | 11.6 | 17 | 9.1 | 18.3 | 31.9 | 43.9 | 12 |
한 국 | 6.6 | 8.1 | 17.8 | 19.1 | 9.6 | 14 | 34 | 41.2 | 7.2 |
* 순위는 2009년도 합계를 기준으로 함.
출처 : 농림수산식품부,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, 2010.(사)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식육편람 2010.
우스개로 치느님의 나라라고는 해도, 우리 나라의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웬만한 나라들보다 훨씬 적죠.
2013년 기사가 다룬 한국인 1인당 소비량도 그렇게 안 늘었어요. 저 위의 신문기사 자체는 한국인도 고기를 많이 먹는다는 쪽으로 말하고 있지만, 저 표나 정부통계를 보면 말이죠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