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가는 작물
생강
castpoint
2017. 4. 23. 00:00
작년에, 먹고 남은 생강이 냉장고 봉지 안에서 썩어가길래 찜찜해서 버리느니 심어 보자고 텃밭 구석에 박아두었는데, 몇 뿌리가 나긴 하더라. 신기했다. :) 처음 봐서 구별법을 몰라서 그랬지만 얼핏 보니 조릿대랑 혼동할 것 같은 모양새. 그래서 찾아본 것.
프로파머님의 블로그를 먼저 링크. 솔직담백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글.
http://blog.joins.com/media/folderlistslide.asp?uid=cshwang0&folder=5&list_id=13653619
http://blog.joins.com/media/folderListSlide.asp?uid=cshwang0&folder=5&list_id=14535951
생강밭 준비하기, 심는 시기, 여러 사진 등 이야기가 있다.
심공님 블로그
http://blog.naver.com/chapo2004/220262780743
http://blog.naver.com/chapo2004/100197551953
http://blog.naver.com/chapo2004/100198581624
그 외, 글이 많다.
- 생육온도, 수확 후 저장온도, 저장방식은 고구마와 비슷
단, 고구마와 달리 생강은 다비성인 모양. 호박처럼 밑거름을 많이 해주어야 하는 것 같다. - 싹트는 데 야콘보다 오래 걸림.
- 종강(씨생강)은
심기 전에 사나흘 햇볕에 쬐어 주면 발아촉진효과
종강은 20~30g 크기로 하나에 눈이 2-3개 있으면 됨. (프로파머님쪽 글인가에는 텃밭할 땐 그보다 크게도 한다고. 전문농사용 씨생강으로 나오는 건 균일하게 잘려 움이 터 있음) - 종강은 바로 심기도 하고, 모종하듯 키우되 잎은 보지 말고 움만 틔우는 정도까지 하고 밭에 심기도 함. 정성을 들이는 만큼 밭 활용도가 높아지고 싹트는 게 빠름.
- 재식거리는 25~30cm 사이. 깊이는 3-4cm. 도라지처럼 볕짚으로 덮어 싹틀 때까지 잡초방지, 보온 등.
- 생강은 율금처럼 천근성임. 가문에 약하지만 토양이 너무 습해도 약함.
- 파종 시기는 4-5월, 수확 시기는 10~11월. 되도록 늦서리와 첫서리를 피할 것. 원산지에선 일년생이 아니고 계속 자람.
특히 씨생강은 서리내리기 전에 수확, 먹을 건 첫서리내리면 해도 됨. 잎과 잔뿌리는 제거.
생강값은 작년에 폭락했다고 한다. 어째선지 작년 가을, 마트에 많이 싸게 나오더라..
개량종 씨생강은 한 절반은 중국산인 모양이라, 국내산 씨생강을 배양 등으로 개발하는 연구를 하는 모양이다. (씨감자는 배양해서 보급하는 게 있다고 알고 있고 전에 본 적 있다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