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귀농, 농사 관련 웹서핑 중 걸린 것

귀농귀촌관련 한눈에 보기: 조선일보 인포그래픽스

귀농귀촌에 관한 그림이 올라서 링크한다.

PT할 때 끼워놓기 좋게 그려놨네. :)



귀농귀촌 현황


귀농가구주 연령별 비율

30대 이하 11.5%

40대 23%

50대 39.3%

60대 20.9%

70대 이상 5.3%


귀농가구주 성별

남자 70.6%

여자 39.4%


귀농가구수

2010.. 5405

2011.. 10075

2012.. 11220

2013.. 10923



귀농귀촌 어디로 많이 가나


전체 귀농가구 10923 + 전체 귀촌가구 21501 = 32424 가구가 작년에 농촌으로!


귀촌은 경기도가 제일 많고

귀농은 경상북도가 제일 많다.

: 읽음 소감) 경기도는 돈있는 노인이 은퇴하기 제일 좋은 곳이다. 복지시설도 좋고.

          경상북도는 오지가 많다.


귀촌인구는 경기도가 압도적이고 충북이 경기도 절반, 강원도가 충북의 2/3다. 즉, 수도권 교통이 편리한 순으로 퍼져간다.

귀농인구가 경상북도 다음으로 많은 곳은 전남이다. 따뜻하고 땅값이 싸서일 듯.



귀농가구의 주요 재배작물과 사육가축


주요 재배작물은 채소 54.1%, 과수 30%, 특용작물 32.3%, 논벼 23.8%

주요 사육가축은 소 60.5%, 닭 24.6%, 오리 5.3%



귀농귀촌 7대 원칙


각 항목에다가 어디서 본 내용을 토달아보았다.

  1. 영농기술부터 배우고 귀농해라.
    : 귀농하는 순간 돈까먹기 시작한다. 농사는 철인데 적어도 1년을 배우느라 까먹으면 그 새 드는 돈은?
  2. 가족들과 미리 신중하게 상의하라.
    : 혼자 귀농할텐가? 농사는 가족사업이다. 그리고 자신뿐 아니라 가족도 이주한다. 
  3. 귀농 전에 농촌생활의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라.
    : 자영업과 똑같다.
  4. 초기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자하지 마라.
    : 자영업과 똑같다. 오히려, 돈 순환이 늦고 자기 노력 외적인 요소가 많기로는 더할 지도.
  5. 도시 생활을 하루 빨리 잊어라.
  6. 농촌 주민들에게 먼저 다가가라.
    : 도시 월급쟁이때처럼 이웃과 내가 나는 나, 저는 저로 살 수 없다.
  7.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영농기술을 꾸준히 배워라.
    : 게으르면 죽는다.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! "내가 사장이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