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열대, 아열대과일이 많이 시장에 나오고 있습니다.
예전같으면 남부지방에서나 알던, 재래시장에서 가끔 보던 과일도 이제는 전국적으로 유통된 지 좀 됐죠.
앞으로 벼농사보다 과일을 한다는 분들도 계시던데
기후온난화로 그 과일 주작목을 뭘로 해야 할 지도 예전과 달리 생각할 게 많아졌다는 이야기.
<농작물 지도가 바뀐다> '사과=대구, 제주=감귤'은 이제 옛말 - 연합뉴스
: "늙어서도 사과먹고 싶냐? 통일해라."
: 과일 뿐 아니라 채소재배조건도 완전히 달라짐.
: 열대 작물만 오는 게 아님. 열대 해충, 바이러스, 박테리아도 들어옴.
현재 아열대 작물 중 채소는 강황→여주→오크라→인디언시금치→공심채 순으로, 과일은 망고→용과→구아바→바나나→아보카도→파인애플→패션프루트→파파야 순으로 재배면적이 넓다. - 연합뉴스
농촌진흥청이 관련 보고서를 발간한 모양인데, 잘 찾지 못하겠네요.
꼭 봐야겠습니다.
이건 잡담인데,
앞으로 한 10년은 강원도에서 사과재배해야겠고
그 다음에는 북한에 사과밭을 조성해 수입하는 사업이 생길 지 모르겠군요.
기사를 찾아보니, 이미 하고 있네요. 그럼 그렇지.^^
강원도 양구에 사과밭, 충북에서 귤..
http://mbn.mk.co.kr/pages/news/newsView.php?news_seq_no=2414630
'뉴스기사, 그 외 스크랩 > 농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즘 감이 철입니다. (0) | 2016.11.11 |
---|---|
쌀 생산조정제: 벼농사를 짓지 않는 조건으로 보상금 지급하는 제도 (0) | 2016.10.14 |
이달 청주시 흰찰쌀보리 수확 중 (0) | 2016.06.08 |
올해 벼농사 풍년 예상. 425만톤. 봄가뭄이었지만 생장에 좋은 기후 (0) | 2015.10.14 |
유럽 농업에 관한 글 링크 하나: 프랑스 (0) | 2015.08.24 |
1인가구 추세가 농작물 작목에 이르다 (0) | 2015.07.16 |
작년 국내에 수입된 식용GMO는 207만 톤 (0) | 2015.05.15 |
쌀 혼합미 규정과 그 개정에 관한 기사 (0) | 2015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