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의 분류기준으로 노인 인구가 8%를 넘으면 고령화사회, 14%를 넘으면 고령사회, 20%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라고 합니다. 우리 나라는 전국 기준으로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데요, 젊은이 대다수가 도시에 나와 있기 때문에 시골 지역은 이미 초고령사회입니다.
관련기사 둘 링크합니다.
http://www.ajunews.com/view/20150428151404166
http://biz.heraldcorp.com/view.php?ud=20150417000647
통계청이 발표한 ‘201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’ 보고서
http://kostat.go.kr/portal/korea/kor_nw/3/index.board?bmode=read&aSeq=335132
한국에 농민은 몇 명이냐 하면,
통계청 집계상 2014.2월 현재 가구수로 120만 중반대, 인구로 320만 명이 못 된다고 합니다.
농림어가의 가구 구성은 2인 가구가 절반 이상입니다.
고령화율은 30~40%대로, 자식을 도시에 내보낸 부부, 홀아비, 부모를 모시는 노부부가 많을 것을 짐작케 합니다.
농가 경영주의 4할은 70세 이상.평균 연령 66.5세.
농가가 가장 많은 도는 어디일까요? 전남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경북입니다. 전남은 그 다음, 그 다음은 충남.
농가의 경지 규모는 1ha 미만이 65%. 3ha 이상은 10만 가구가 못 됩니다.
벼, 채소, 산나물 재배는 줄고 과수 농가는 증가.
연간 농산물 판매액 1억 원 이상인 가구는 전체 농가의 2.7%인 3.1만 가구. 판매처는 1/3이 농협을 통해. 직접판매 23%.
전체 농가의 53.4%가 전업 농가. 46.6%는 겸업농가. (농업이 주업인 농가는 68.1%)
농림어업 중 농업부분만 발췌했습니다. 임업과 어업은 위 링크된 문서를 참고하세요.
아래는 이 통계를 읽을 때 필요한 주요 용어 설명입니다.
'귀농, 농사 관련 웹서핑 중 걸린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쌀농사짓다 주말농장사업으로 전환한 이야기 링크 하나 (0) | 2015.09.28 |
---|---|
어느 귀농관련 조언글 링크 (0) | 2015.08.14 |
작은 농업용 냉동 창고의 전기사용량은 월10만원? (0) | 2015.07.24 |
"위장결혼에 붕괴되는 농촌 가정…국적만 취득하고 가출·이혼" (0) | 2015.05.29 |
농촌의 보건의료 인프라 부족 (0) | 2015.04.30 |
작년 귀농 4.4만 명/ 충북 귀촌인구는 4년간 20배 (0) | 2015.03.19 |
어느 방범 이야기 (0) | 2015.02.03 |
남부지방 해안 시골에 귀촌한 어느 분의 이야기 링크 (0) | 2015.0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