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위 전투모기도 많고요.
지카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모기도 있다고 하고, 외국에서 병을 가져온 사람도 생겼고,
전에는 킬라를 치다가 몸에 안 좋으니
모기기피제를 꼭 뿌리는데, 이것도 요즘 말 많은 독성 화학물질 종류를 가지고 있는 게 있죠.
특히 금지되진 않았지만 몸에 나쁘다고 알려진 약품을, 싼 에어로졸 모기약들은 아직 사용하고 있습니다. 그런 건 쓰더라도 피부에 안 닿아야 합니다.
'뉴스기사, 그 외 스크랩 > 야외작업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야외 활동 뒤 고열, 구토,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야생진드기감염을 의심" (0) | 2016.06.06 |
---|---|
야외 미세먼지 농도는 "항상" 기상청과 자치단체 공식 발표보다 나쁩니다. (0) | 2016.05.10 |
미세먼지, 초미세먼지 정보 - 에어코리아 등 (0) | 2015.12.28 |
NASA, 지구 각 지역의 공기질 (질소산화물 기준) (0) | 2015.12.18 |
베이징주재 미국 대사관의 초미세먼지(PM2.5) 정보/ 국내 미세먼지(PM10), 초미세먼지(PM2.5), 황사(PM10) 정보 사이트 몇 군데 (0) | 2015.12.05 |
9월, 산란기 야생벌 조심 (0) | 2015.09.14 |
"고혈압약 복용자, 여름철 땀 많이 흘리면 혈압 '뚝' 떨어져 위험" (0) | 2015.08.17 |
"질병관리본부는 게다가 한국이 이 아메바의 생존에 적합한 아열대 기후로 바뀌고 있다며 조사할 필요성을 제기"/ 파울러자유아메바 (0) | 2015.03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