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 이유는, 우리 나라의 기상청과 서울시, 대전시 등 지자체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
사람이 다니는 높이, 보도에 있지 않고,
네, 눈가리고 아웅이죠.
기상청장이 얼마나 양심적이건
서울시장이 얼마나 양심적이건
아무 상관없이 그렇게 행정을 하고 있습니다.
심지어, 과거에는 대기상태가 가장 안 좋은 시점에서는 꺼놓는 만행을 저지른 적도 있는데요,
이게 지금은 초미세먼지와 황사가 이슈라서 그렇지, 고질적인 병폐였고 태업이었고 사보타주였고 대국민 사기였습니다. 서울시내 매연 측정 장치부터 그런 식으로 운영해와서 이 공무원놈들이 미세먼지측정장치를 설치할 때도 걍 하던 대로 악행을 저지르는 겁니다. 그래놓고 책임물리면 왜 나만 가지고 그래~ 다 이래왔어~ 이런 후안무치한 소릴 하겠죠. 그런 공무원은 퇴근길에 보쌈해서 그 주둥이에 황사를 녹인 휘발유를 한 입 부어버려야 할 텐데!
설치 장소도 아직 말이 많은데, 저 링크 기사에 나오듯, 중국먼지가 상습적으로 상륙하는 충청남도에는 단 세 군데밖에 초미세먼지 측정소가 없습니다. 몇 년 째 이런 상황이면서 기상청은 기초데이터를 더 많은 포인트에서 더 정확하게 수집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고, 기상청 퇴직자들이 돈받아처먹는 이권단체나 만들고 장비납품에 간섭했다가 걸리기도 했습니다. 그런 상황에 수퍼컴퓨터만 비싼 거 사놓으면 뭐하나요? 쓰레기 데이터가 들어가면 쓰레기 계산결과, 기상예보가 아니라 점쟁이 관상이 나올 뿐인 걸요.
그래서 결국, 기상청 발표는 견딜 만 한데, 어째 나가 보면 장난이 아닌 상황이 반복되는 것입니다.
중국도 그 짝일 지는 모르겠습니다만,
얼마 전에 TV를 보니 독일은 사람들의 생활공간, 생활높이에 측정기를 달아놓았더군요.
여튼, 이런 상황이니까, 한 바퀴 돌러 나가실 때 황사와 미세먼지(PM10), 초미세먼지(PM2.5) 예보를 참고하시되, 좀 좋게 나온다고 마냥 안심하지는 마시리는 이야기.
'뉴스기사, 그 외 스크랩 > 야외작업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야외 활동 뒤 고열, 구토,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야생진드기감염을 의심" (0) | 2016.06.06 |
---|---|
요즘 모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. (0) | 2016.05.10 |
미세먼지, 초미세먼지 정보 - 에어코리아 등 (0) | 2015.12.28 |
NASA, 지구 각 지역의 공기질 (질소산화물 기준) (0) | 2015.12.18 |
베이징주재 미국 대사관의 초미세먼지(PM2.5) 정보/ 국내 미세먼지(PM10), 초미세먼지(PM2.5), 황사(PM10) 정보 사이트 몇 군데 (0) | 2015.12.05 |
9월, 산란기 야생벌 조심 (0) | 2015.09.14 |
"고혈압약 복용자, 여름철 땀 많이 흘리면 혈압 '뚝' 떨어져 위험" (0) | 2015.08.17 |
"질병관리본부는 게다가 한국이 이 아메바의 생존에 적합한 아열대 기후로 바뀌고 있다며 조사할 필요성을 제기"/ 파울러자유아메바 (0) | 2015.03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