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
AI가 기승이지만 하림그룹은 선방했다는 기사.
왜냐 하면 농장들은 다 프리랜서나 마찬가지인 계약이고
AI로 달과 계란 유통가는 올랐기 때문에.
계란 생산을 늘리기 위해 굶기는 팁 관련해서 하림계약농가도 그러면 하림에게도 책임을 지워야 하지 않느냐는 말도.
2.
미국산 계란이 비쌌고 또 미국에서도 AI가 발생.
그리고 수입 닭고기 대부분의 출처인 브라질에서 부패한 축산물을 화학처리해 부정 유통한 사건이 터짐.
'뉴스기사, 그 외 스크랩 > 축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유(우유)가격 연동제의 결과, 유럽산 멸균우유 수입에 채산성이 생기다 (0) | 2017.10.16 |
---|---|
복지(양계)농장이 조류독감(AI)리스크가 없을 리가 있냐. 경기연구원의 이상한 보고서 (0) | 2017.10.10 |
농가의 닭진드기 전쟁은 어떻게 외면당했나? - 경향신문 (0) | 2017.09.05 |
아직 걸리지 않았는데 "예방적 살처분" 대상인 닭은 왜 도축해서 먹지 않지? (0) | 2017.06.07 |
"열차 소음으로 한우 농장 폐업…철도공단·공사 모두 배상" (0) | 2017.03.07 |
축산업용 동물의료, 요즘 기사를 보면 몇 년 전 하고는 농민 여론이 바뀐 것 같네요. (0) | 2017.02.27 |
"사료관리법에 따르면 사료 대신 음식물 폐기물을 가금류에 급여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" (0) | 2017.01.20 |
농가(낙농단체) VS 우유업체 (0) | 2016.01.28 |